目 次
|
韓民族語文學會 第13輯 1986. 9. 30
|
又村 姜馥樹博士 古稀紀念號
|
|
ㆍ又村 姜馥樹 博士 略歷
|
|
ㆍ揮 毫 慕山 沈 載 完 南幹 李 相 培
|
|
ㆍ祝 詩 -넉넉히 남은 선생님의 내일이여- 芮 鍾 淑 |
|
ㆍ刊行辭 趙 鎭 基
|
|
|
성 명 |
ㆍ同音形態衝突과 言語變化 |
|
ㆍ姜瑋의 東文字母分解와 擬定國文字母分解의 別書 考證 |
|
ㆍ《蘆溪歌》의 理解
|
|
ㆍ韓國 近代 리얼리즘 成立의 前史的 背景
|
|
ㆍ‘蜘?會豕’의 몇 가지 技法 |
|
ㆍ폐음화와 그에 따른 음운현상 |
|
ㆍ崔孤雲의 文學觀 |
|
ㆍ‘자기’와 ‘그’의 재귀적 용법에 관하여 |
|
ㆍ借字表記 ‘只’字에 대하여 |
|
ㆍ화소체계에 따른 김현감호 설화의 유형적 이해
|
|
ㆍ국어 복합동사에 대하여
|
|
ㆍ閨房歌辭를 토해 본 死別認識考 |
|
ㆍ李光洙論의 展開樣相 |
|
ㆍ飜譯 텍스트 選定과 飜譯態度의 問題 |
|
ㆍ꽃의 시적 대상성 |
|
ㆍ<再逢春>에서 문제된 신분과 작품의 짜임 새 |
|
ㆍ傳記文獻資料의 調査와 實例 |
|
ㆍ李奎報의 <東明王篇>의 構成樣相과 作品의 性格 |
|
ㆍ金氏烈行錄의 葛藤樣相 |
|
ㆍ<朴氏傳>의 構造와 後半部의 淵源 考察 |
|
ㆍ金祐鎭의 演劇觀과 戱曲<李永女> |
|
ㆍ의문법 어미의 종류에 따른 의문문 유형의 의미 기능 |
|
ㆍ《三藏》ㆍ《蛇龍》攷 |
|
ㆍ동남방언 성조의 연구와 검토 |
|
ㆍ時調?歌曲의 文獻 再考 |
|
ㆍ<-아 있다><-고 있다>조동사 구분에 대하여
|
|
ㆍ國語韻律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|
|
ㆍ1920年 前後 韓國小說에 나타난 죽음 樣相考
|
|
ㆍ崔孤雲 詩에 나타난 精神世界 |
|
ㆍ歌客들의 長型時調 |
|
ㆍ岸曙詩의 硬直性에 관한 一考察 |
|
|
ㆍ嶺南地方 國語國文學 關係硏究論文目錄 (591) (發行期間 : 1985. 10. 1 ~ 1986. 9. 30)
|
ㆍ彙 報 (607)
|
|
인터넷을 이용하 시 기 바랍니다. 주소 : http://www.emunhak.com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