目 次
|
韓民族語文學會 第82輯
|
▣ 일반논문
|
성 명 |
ㆍ국어 감정 표현 구문에 대한 연구 |
조경순 |
ㆍ‘새침’의 사전 처리와 ‘새침을 떼다’의 형성
|
홍석준 |
ㆍ상품평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 완화 표현 연구 |
이민주ㆍ강현아
|
ㆍ국어의 연결어미 독립절(단편문)에 대하여 |
구종남 |
ㆍ「표준국어대사전」의 ‘X어지다’류 합성 동사에 대한 고찰
|
유방 |
ㆍ대학생의 비평 글쓰기와 창의적 역사의식 함양 사례 연구
- 2018년 1학기 인천대학교의 <글쓰기 이론과 실제> 수업을 중심으로
-
|
최호영 |
ㆍ공감적 소통을 위한 발표의 수사적 전략 |
장소진 |
ㆍ조선후기 여성의 두 가지 욕망과 탄식
- <노처녀가>와 <여자자탄가>를 중심으로 - |
최상은 |
ㆍ안민영 피란 시기 사설시조의 성격과 표현
|
손정인 |
ㆍ‘이경원’의 사망년도와 이효석의 만주 기행문에 대한 연구
|
노상래 |
ㆍ기억의 재구성과 반성의 문학
- 베트남전쟁 소재 소설을 중심으로 -
|
김경민 |
ㆍ오장환 시의 금기 인식과 위반 충동
|
서영희 |
ㆍ「장학보」 소재 소설 연구
|
임기현 |
ㆍ장용학 소설에 나타난 금기와 초극 |
류희식 |
ㆍ포스트모던시대 글쓰기 첨삭의 대화성
- 「첨삭논평에 대한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 연구와 그 영향에 관한
연구 : 교수자 첨삭을 중심으로」
-
박준범, 영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, 2017. |
서평 / 김기호 |
|
|
ㆍ「한민족어문학」제82집 |
편집자의 말 |
ㆍ韓民族語文學 第82輯 |
표지 |
ㆍ목차 |
목차 |
|
|
인터넷을 이용하시기 바랍니
다. 주
소 : http://www.emunhak.com |